접수마감
종료
4회차 과학스쿨 : 마이크로그리드(에너지 자급자족 공동체)
4회차 과학스쿨 : 마이크로그리드(에너지 자급자족 공동체)
  • 행사기간 2024년 08월 21일 ~ 2024년 08월 21일
  • 행사시간 19:00 ~ 20:30  
  • 행사장소광주과학기술원(GIST) 오룡관 303호
  • 접수기간 2024년 07월 31일 ~ 2024년 08월 20일
  • 모집인원 정원 150명
  • 이용대상전연령(초등학생 이상 권장)
  • 참가비 무료
  • 문의처과학문화실)062-960-6143

2024년도 4회차(8월) 과학스쿨  "마이크로그리드:에너지 자급자족 공동체"

 

@참여특전 기념품을 드립니다. (기념품 소진시 다른 기념품으로 대체될 수 있습니다.)

@과학스쿨 하반기(8~12월) 스탬프 미션을 달성하신분은 스탬프 미션 기념품으로 우주인 무드등을 드립니다. (상품 소진시까지)

    2024 과학스쿨 스탬프가 날인된 리플릿을 지참해주세요.

  ※  행사예약 후 사전 예약취소 없이 불참시 다음행사 참여기회 1회 제한 및 이벤트 당첨에서 제외됩니다.

  ※  2024 과학스쿨 하반기 강연은 광주과학기술원(GIST) 오룡관 303호에서 진행되오니 참고바랍니다.

 

[행사안내]

   - 행사일시 : 2024. 8. 21.(수), 19:00 ~ 20:30

   - 행사장소 : 광주과학기술원(GIST) 오룡관 303호

   - 준  비  물 : 필기구

   - 참가연령 : 전연령(초등학생 이상 권장) 

   - 접수기간 : 2024. 7. 31.(수) 10:00 ~ 2024. 8. 20.(화) 18:00까지 (행사당일 예약/취소를 원하실 경우 전화문의 꼭 부탁드립니다.)

     ► 과학스쿨 예약일 시작일은 홀수월 마지막주 수요일 입니다.

     ► 강연 무단불참 시 다음 강연참가(1회) 및 이벤트 당첨의 제한이 있습니다. 

 

 

[강연내용]

○  배    경        

  인공지능, 데이터센터, 전기차, 전자기기 등의 증가로 인해 전기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증가하는 수요에 상응하는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할까?

  송전탑, 발전소와 같은 대규모 설비를 확충하는 방안은 이제 한계에 도달했다. 전력망은 너무나도 복잡해졌고, 사람들은 환경과 공정함에 민감해졌다.

  다행히, 우리는 더 이상 아주 먼 발전소에서 전기를 끌어와서 쓰지 않아도 될 수 있는 시대에 진입하고 있다. 우리 근처에서 전기를 생산하고 소비할 수 있는

  작은 지역 전력망인 마이크로그리드에 대해 알아보고, 마이크로그리드는 우리에게 어떤 미래를 선사할지 상상해본다. 

 

○  주요내용

  -  그리드란?

  -  기존 전력망의 한계

  -  분산형 시스템

  -  에너지 자급자족 시스템

 

○  강연자 김윤수 교수

  -  광주과학기술원 에너지융합대학원

 

○  주요연구 내용

  -  가상발전소 모델링

  -  인공지능 기술의 전력 분야 응용 연구

  -  최적 관리 기술 개발

  -  전력망 해석 기술 개발

 

○  주요학력 및 경력

  -  2023 – 현재 국제전기전자공학회 지속가능에너지 (IEEE TSTE) 저널 편집위원

  -  2020 – 현재 국제전기전자공학회(IEEE) “전력계통을 위한 기계학습” 연구위원

  -  2018 – 현재 지스트 에너지융합대학원 조교수, 부교수

  -  2015 – 2017 한국전기연구원 차세대전력망연구본부 선임연구원

  -  2010 – 2016 서울대학교 전기컴퓨터공학부 공학박사 

  -  2005 – 2010 서울대학교 전기컴퓨터공학부 공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