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수마감
종료
슬기로운 건강생활 : 허리통증 바로 알기
슬기로운 건강생활 : 허리통증 바로 알기
  • 행사기간 2022년 07월 23일 ~ 2022년 07월 23일
  • 행사시간 14:00 ~ 15:00  
  • 행사장소1층 상상홀
  • 접수기간 2022년 07월 07일 ~ 2022년 07월 22일
  • 모집인원 정원 150명
  • 이용대상전연령 (사전 예약취소 없이 불참시 향후 참여기회 제한)
  • 참가비 무료
  • 문의처과학문화확산실(☎062-960-6128)

2022 1회차 슬기로운 건강생활 : “허리통증 바로알기” - 다양한 원인과 치료

 

- 강연 참가자 전원에게 특별한 기념품 증정-

※ 코로나 19 확산 예방을 위하여 마스크 착용 후 착석 부탁드립니다.

행사예약 후 사전 예약취소 없이 불참시 다음행사 참여기회 1회 제한됩니다.

 

[행사안내]

- 행사일시 : 2022. 7. 23.(토), 14:00 ~ 15:00

- 행사장소 : 1층 상상홀

- 접수기간 : 2022. 7. 7.(목) 09:00 ~ 2022. 7. 22.(금) 18:00까지

(행사당일 예약/취소를 원하실 경우 전화문의 꼭 부탁드립니다.)

► 강연 무단불참 시 다음 강연참가(1회) 제한이 있습니다.

 

 

[강연내용]

배 경

살아가는 동안 많은 사람들이 통증 때문에 고통받게 되며, 통증은 의사를 찾게 되는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입니다. 1979년 국제통증학회(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Pain; IASP)가 통증에 대해 처음 정의한 이후로 40년 이상 널리 사용되어 오다가 최근 2020년에 수정하여, “통증은 실질적인 또는 잠재적인 손상과 관련된, 또는 이와 유사한 감각적이고 정서적인 불쾌한 경험이다”라고 발표하였습니다. 추가로 만성 통증은 2018년에 WHO(세계보건기구)로부터 질병으로 분류되어 국제질병분류 코드를 부여받았고, 국내에서는 2021년 1월 1일 질병으로 등재되었습니다.

 

통증을 이해하고, 예상하고, 치료하기 위하여 다양한 분류법이 사용되고 있는데, 첫째로 기간에 따라 급성/만성 범주로 나눌 수 있고, 둘째로는 통증의 병리학적 분류에 따라 통각수용기성 통증, 신경병성 통증, 통각형성 통증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는 통증 양상에 따라 지속성 통증 및 돌발성 통증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통증의 치료는 위에서 분류한 통증의 분류에 따라 치료적으로 접근하게 되고, 비침습적인 치료에서부터 가장 침습적인 치료인 수술에 이르기까지 단계적으로 접근하게 됩니다. 여기에는 물리치료, 운동 요법, 이완 요법, 바이오피드백, 약물 치료, 신경주사치료, 시술, 수술 등 다양하게 포함됩니다.

 

허리 통증은 평생 유병률이 60-90%로 감기 다음으로 흔한 질환입니다. 대략 80% 안팎의 환자들이 2개월 내 자연적으로 호전되지만 나머지 환자들은 6주에서 12주 이상 통증이 지속되기도 합니다. 이런 경우 만성 허리 통증으로 넘어가게 되면, 급격한 정신적, 사회적, 경제적 부담을 안게 됩니다.

 

만성 통증의 경우 다양한 요인들이 작용하며 약물적 치료는 제한적일 수 있고, 운동 및 재활치료, 명상 등 정신건강의학과적 치료, 신경주사치료, 각종 시술, 수술 등 다학제적으로 접근할 수 있으며 특히 척추수술후증후군 등 난치성 만성 통증 조절을 위한 매커니즘 연구, 새로운 타겟 발굴, 혁신적인 치료법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주요내용

- 통증치료 왜 중요한가?

- 통증의 분류

- 통증의 치료

- 허리 통증 종류와 관리

 

강연자 박휴정 교수

-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마취통증의학과

   

주요연구내용

- 척추 관련 통증

- 대상포진 및 신경병증성 통증

   

주요학력 및 경력

- 1993년~2010년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학사, 의과대학원 마취통증학과 석사/박사

 - 2005년~2018년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성모병원 임상강사, 전임강사, 조교수, 부교수

 - 2018년~현재 가톨릭 대학교 의과대학 서울 성모병원 교수, 통증센터장, 마취통증의학과 임상과장, 외래부장

 

- 현재

· 대한통증학회 학술이사

· 대한통증연구학회 학술이사

· 대한신경조절학회 특별위원장

· 대한척추통증학회 편집위원